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이재명 대통령 G7 귀국 장면
    출처 뉴시스

    1. 남북 관계 긴장 완화

    DMZ 경계 확성기 방송 전면 중단 결정 : 6월 11일부터 군부대의 남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, 북측도 대응 차원에서 방송을 중지했습니다. 이는 긴장을 줄이고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입니다.

    대북 전단 살포 자제 요청 : 북한에 전단(풍선)에 의한 선전물 발송도 자제하도록 촉구하며 선제적 평화 메시지를 강조했습니다.

    2. 남북접경 지역 방문

    취임 9일 만인 6월 13일 연천·파주 등 접경지 방문 : 민통선 마을 주민들과 간담회를 진행하며, 최전방 병력을 격려하는 등 평화 의지를 직접 전달했습니다.

    3. 대외외교 활동

    첫 주요 외교 무대 G7 정상회의 참석 (6월 16~18일, 캐나다) : 9개국 정상 및 국제기구 수장과 회담하며 ‘민주 회복’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전달.

    한·일 정상회담 (6월 17일, G7) : 일본 이시바 총리와 첫 공식 정상회담, ‘불가분 관계’ 강조하며 경제·안보 협력 강화 의지 표명.

    G7 이후 귀국 및 국무회의 주재 : 6월 19일 새벽 귀국 직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첫 국무회의를 주재, 추가경정예산 심의 등 국정 데뷔.

    4. 경제·산업 지원

    대기업 총수 회동(6월 13일 전후) : 삼성·현대·SK 등 주요 그룹 수장들과 간담회, 미국 무역장벽 대응 및 규제 완화를 위한 정책 협력 약속  .

    5. 대통령 건강 책임 체계 보강

    ‘데이터 기반’ 대통령 주치의 선임 (6월 19일) : 박상민 서울대병원 교수를 양방 주치의로 위촉. 캐나다 G7 일정에도 동행했던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전문가입니다.

    반응형